본문 바로가기
출산&육아

2023년 출산지원금, 출산혜택 총정리! 반드시 알아야 해요.

by 백억고 2022. 12. 20.

계속되는 저출산으로 인해 정부에서는 매년 새로운 출산지원 정책들을 발표하는데요. 내년 2023년에는 어떤 부분에서 혜택이 늘고 줄어드는지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산 지원금

1. 첫만남 이용권 (2022년과 동일)

2022년부터 시행된 정책으로 1월 1일 이후 출생한 아동들에게 200만원이 바우처 형식으로 지급됩니다. 아동의 보호자가 주민센터에서 신청이 가능하며 신청한 카드에 포인트형식으로 지급됩니다. 

쌍둥이는 400만원, 세쌍둥이는 600만원이 지원됩니다.

출생일로부터 1년간 사용이 가능하며 그 이후엔 잔액이 자동소멸이 되니 그전에 꼭 사용하셔야 합니다.

유흥업소, 레저업종, 사행업종을 제외한 모든 업종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오프라인뿐 아니라 온라인 사용도 가능합니다.

 

2. 임신출산바우처 (국민행복카드)

임신 1회당 단태아 100만원, 다태아 120만원이 바우처 형식으로 지급됩니다. 

출산일로부터 2년간 사용이 가능하며 카드 발급은 삼성, KB, 롯데, 신한, 우리, BC 등 각 카드사에서 발급하거나 복지로, 아이사랑, 각종 아기출산사이트 (미즈톡톡, 베베폼, 베팡, 카드올 등; 10만원 이상 사용시 사은품 지급) 에서도 카드발급이 가능하며 연회비는 따로 없습니다. 

출산바우처 뿐 아니라 정부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바우처를 국민행복카드로 지급받을 수 있다. 

 

3. 부모급여

2022년에 주던 영아수당이 부모급여로 바뀌면서 지원금액이 달라졌습니다. 

- 2023년 : 만0세 - 월 70만원, 만 1세 - 월 35만원

- 2024년 : 만 0세 - 월 100만원, 만 1세  - 월 50만원

뿐만아니라 2023년에는 어린이집 등원여부에 따라서 부모급여가 달라지는데요, 어린이집에 다니는 0세의 경우 영유아보육료 약 50만원(보육기관으로 보내짐)이 차감된 20만원만 지급되며, 1세의 경우 영유아보육료 약 50만원이 차감(보육기관으로 보내짐)되면서 부모급여는 지급되지 않습니다.

 

4. 가정양육수당

24개월부터 86개월 미만의 전 계층 가정양육 아동에게 월 10만원씩 지원하고 있습니다. 어린이집, 유치원에 다니거나 종일제 아이돌봄서비스를 지원받는 아동, 90일이상 해외체류 아동은 가정양육수당을 지원받지 못합니다.

 

5. 아동수당

만8세 미만의 아이들에게 월 10만원씩 지원되며 다른 양육수당과 중복급여가 가능합니다. 다만 90일 이상 해외체류 아동은 지원받지 못합니다.

 

 

출산혜택

1.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

연간 48만원 상당의 농산물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20% 본인부담, 80% 포인트차감). 모든 임산부가 다 지원받을 수 있는게 아니라 따로 신청해서 지원대상으로 선택되어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지역별로 신청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연초에 지역구청에 연락해서 언제쯤 모집하는지 물어보면 도움이 됩니다.

개인적으로 제가 완전 강추하는 지원사업인데 그만큼 신청이 까다롭고 경쟁률도 장난아녜요. 제 글을 보시고 내년에 꼭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https://baekeok-go.tistory.com/entry/%EC%9E%84%EC%82%B0%EB%B6%80-%EC%B9%9C%ED%99%98%EA%B2%BD-%EB%86%8D%EC%82%B0%EB%AC%BC-%EA%BE%B8%EB%9F%AC%EB%AF%B8-%EC%8B%A0%EC%B2%AD%ED%95%98%EA%B8%B0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 신청 꿀팁

안녕하세요. 오늘은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 신청후기를 적어보려고 합니다. 정부에서 임산부를 위해 여러정책을 내놓았는데, 올해 2022년에도 작년에 이어 '임산부 친환경 농산물 꾸러미'

baekeok-go.tistory.com

 

2. 북스타트 책꾸러미

해당지원사업은 각 시군구별로 다르게 진행하기 때문에 가까운 동사무소에 문의하시면 정확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3. 전기요금인하

-출산가구 : 36개월 미만의 영아 1인 이상이 포함된 가구

-다자녀가구 : 3자녀 이상의 가구

-대가족 : 5인이상의 가구

위의 가구에 해당하면 전기세의 30% (최대 월16000원, 7~8월 : 월22000원) 할인이 가능하므로 한국전력공사에 문의하시면 됩니다.

 

 

 

지금까지 2023년 출산지원금 및 출산혜택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출산지원금과 북스타트의 경우 아기 출생신고시 동사무소에서 한버에 신청이 가능하므로 따로 신경쓰지 않으셔도 되는데 친환경농산물꾸러미의 경우에는 반드시, 꼭! 신청하시길 추천드립니다.

댓글